이 상태로 몇분 기다리면 도메인 연결이 완료된다.
서브 도메인도 만들어 보자.
이제 도메인을 nginx에서도 연결해주기 위해, nginx의 default 파일로 들어가서 server name 부분에 도메인 이름을 적어준다.
nginx 테스트를 하고, restart를 해주면,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서브 도메인도 연결해보자.
서브 도메인의 경우에는 각각 다른 파일을 보여줘야 하므로, 각 서브 도메인에 맞는 폴더를 만들어주는게 먼저이다.
만들어준 각 폴더 안에, 기본으로 띄워줄 html 파일을 넣어주자.
이제, 각 서브도메인에 맞게 nginx의 default 파일에 서버 블록을 만들어주자.
각 서버 블록에서 달라지는 것은 server 이름과 root 경로이다.
nginx 테스트, restart를 해주면, dev와 prod 모두 설정해준 파일이 띄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마무리로, ip주소로 접속했을 때, 도메인 주소로 리다이렉션 되게 만들어주기 위해 서버블록을 하나 더 추가해주자.
여기서는 return 값을 http로 적어놓았지만, https 적용을 마치고 다시 바꿔주어야 한다.
이 다음 게시물에서는 Let's encrypt 를 이용해서 ssl 인증서를 적용해보자.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세팅(3) - ubuntu 22.04 Let's Encrypt 인증서 설정 (1) | 2022.10.25 |
---|---|
리눅스 세팅(1) (0) | 2022.10.24 |